제목 : 2011년도 설계콘테스트작 심사평 2011년도 전국학생선박설계콘테스트의 울산대지정과제작의 심사평 및 지정과제부문 전체 출품작의 심사총평이 다음과 같습니다. 이 후 준비에 참조하기 바랍니다.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입상내역 | 최우수상 | 작품명 | 설계광폭(B mld 36~40m) 4,600 TEU급 CONTAINER CARRIER 설계 | 학교명/지도교수 | 울산대학교, 권영중/노명일 교수 | 참가자 | 심원규, 박민규, 김민규, 김 웅, 김준동, 이준섭, 정세용, 김현경, 강치영, 김민우, 김창현, 김필진, 김민석, 서성호, 송승룡, 오세훈, 천지용 | 심사평 / 우수사항 및 보완점 | ▶ DIMENSION 결정부터 경제성 평가 및 DRAWING 까지 완벽하다. | ▶ 각 설계 분야별 전반적인 이해도/결과물의 충실도가 높은 수준임. RULE의 이해도 수준이 높음. | ▶ 해적방어 SYSTEM 고려 좋음. 건조 공법(B/DIVISION) 검토 시도 좋음. 1 BAY에 설치한 HFO 구조배치가 | 좋음. G/A 등 도면 개발 수준이 높음. | ▶ EEDI, BWMT 시스템, 해적퇴치 시스템, PSPC 추가 고려. 수작업을 통한 LINES 작성의 노력이 엿보임 | (설계1,2,3선으로 나누어 다양히 검토). HFOTK 이중화를 위해 다수의 배치안을 고려함. | ▶ 수작업 도면 작업까지 하는 열의가 돋보임. 생산까지 고려한 설계. 내용과 도면 모두 흠잡을 곳이 없을 | 정도로 훌륭함. | | ▶ 기초이론 및 요목 전개과정이 우수. LOADING 개념이 잘 되어있다. 전반적으로 우수함. | ▶ 세밀한 경하중량 추정이 돋보임. 유체역학적 조종성능 검토가 돋보임. | | | ▷ 욕심을 낸다면 HATCH COVER TIGHTNESS 적용도 하면 좋았겠다. | ▷ E/R AFT HOLD의 CONTAINER 적재량 증가 필요. 구조 VERIFICATION이 필요함 (HOLD 해석) 종강도 | 최적화를 통한 중량 절감 필요. T&S 최적화 필요. | ▷ 각 LOADING CASE의 VISIBILITY CHECK 누락. | ▷ H.F.O.T 위치 선정이 최적인지 여부의 검토가 포함되었으면 더 좋았을 것임. | ▷ 현재의 설계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도 요청됨. | ◆ 울산대 지정과제작 심사평(2011년도) ◆지정과제 출품작 전체의 총평(2011년도 작) 제20회 학생 선박설계 콘테스트 과제 총평 (지정과제) | | 지정 과제 | ▶전반적으로 선박설계 개념에 따라 CONTAINER선의 특징들을 잘 파악하여 설계를 잘하였고 특히 | 선형 결정 과정에서 각각의 결정 방법을 적용하여 선형을 잘 개발하였다. | 아쉬운 점은 요구한 DWT의 MAXIMIZE가 미비하여 MAXIMUM LOADABLE CONTAINER 적재에 | 미비한 점이 있고 전반적으로 FREEBOARD, 의장수, LOADING CONDITION 작성의 이해 부족으로 | 아쉬움이 있고 MINIMUM GM을 결정하는 과정을 판단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. (RULE 이해 미비) | ▶ 설계선의 목적(선주요구 사항)에 부합하는 설계 개념을 잘 이해하고 각 설계분야의 이해도가 높은 | 작품이 많았으나 일부 작품에서는 목적선에 부적합 분야도 있었다. 이는 분야별 정보공유 부족 혹은 |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 넓은 이해의 부족으로 이해되며 관련 조직간 정보교류의 필요성을 |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. | ▶ 대학의 전산의 개발 및 사용능력이 점점 높아지는 일면을 여러 작품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. | 이는 자칫하면 기본(수계산)을 통한 설계의 이해도 증가 및 능력 향상의 저해요인이 될까 우려되는 | 점도 있다. 전반적으로 손상 복원성의 RULE이해 및 적용방법의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. | ▶ 설계 자체 뿐만 아니라 설계에 영향을 주는 주변여건(항구,항로,각종 REQ.)에 대한 검토가 | 이루어져 바람직해 보임. 계산결과의 정확성도 중요하지만,각각의 ITEM에 대하여 어떤식으로든 | 검토를 진행해야 하는데,조선소와 유사한 수준으로 검토를 진행함. 일부 과제로 T-BHD 까지 | 검토하므로서 구조개념의 숙련화를 보여줌 | ▶ 설계지정범위 이외에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EEDI,해적퇴치시스템,진동소음 까지 검토된 | 팀들이 있었고 조선소 신입사원 교재로 활용되어도 전혀 손색이 없을 정도임. 다만 몇몇 과제에서는 | 조선소에 근무하는 선배들의 설계자료 활용도 비중이 높아 창의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었음. | 또한 계산 결과를 수기로 임의 변경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느 경우도 일부 있었음. 순위 별로 상,중,하 | 팀들간 과제 완성도의 GAB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능력 범위 내에서 노력한 흔적이 뚜렷함. | ▶ 학생들의 작품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수준이 높고, 정성과 노력이 엿보이는 작품이 4~5개 | 정도 있었고, 비슷한 정도를 가지는 작품은 학생 입장에서 노력하고 수고한 열정이 바람직한 |
|